티스토리 뷰
반응형
개인 안심번호 발급
다중이용시설 방문할 때 QR코드 대신 수기 작성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개인 안심번호 발급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개인 안심번호 발급 관련 사항
- QR코드 체크인 방법과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은 동일합니다. 단,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QR코드는 매번 생성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개인 안심번호는 한 번만 생성하시고 기록해서 수기 명부에 기입하시면 됩니다.
- QR코드는 생성을 해서 기계에 스캔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생성하셔야 합니다. 개인 안심번호는 기억하거나 기록을 해두었다면 손으로 수기 명부에 쓰기만 하면 됩니다.
- 개인 안심번호는 매번 변경되는 번호가 아닙니다. 한 번 발급을 하고 나면 계속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게 됩니다.
- 처음에 개인 안심번호 발급 취지가 개인정보 보호 목적이었습니다. 수기 명부에 개인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개인정보 유출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개인 안심번호 발급 방법
개인 안심번호는 QR코드 체크인 발급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QR코드 체크인(출입증) 발급 방법인 네이버, 카카오, 패스 어플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
- QR 체크인하는 방법이 특별히 어렵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네이버로 이동을 해주세요.
- 그러면 네이버 첫 화면 상단을 보시면 QR체크인이 보입니다. QR체크인을 눌러주세요.
- 만약 처음 QR체크인을 하시는 거라면 인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필수항목 동의를 하시고 개인 전화번호를 입력하시고 문자로 날아오는 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개인 인증이 완료되면 QR코드가 뜨게 됩니다.
- 이렇게 발급된 QR코드를 전자출입 명부 작성할 때 쓰게 됩니다. 개인 안심번호는 QR코드와 같이 있습니다. QR코드 위를 보시면 개인 안심번호라고 되어 있으며 글자 두 개와 숫자 네 개가 있습니다.
- 이 번호가 개인 안심번호입니다. 기록을 해두시고 수기 명부 작성할 때 쓰시면 됩니다.
카카오톡
- 카카오톡에서도 QR 체크인하는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네이버에서 개인 안심번호를 확인하셨다면 카톡에서 또 확인하실 필요 없습니다. 개인 안심번호는 어디에서 확인하든 동일합니다. 알려드리는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로만 확인하면 됩니다.
- 카톡을 실행하시면 바닥에 다섯 가지 아이콘이 있습니다. 사람 모양, 말풍선, #, 쇼핑백, "..." 이 중에서 "..."을 눌러주세요.
- 그러면 화면이 바뀌면서 우측 상단에 QR체크인이 보입니다. 이걸 눌러주세요.
- 카톡도 최초 사용이라면 개인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네이버와 카톡 모두 한 달에 한 번씩 다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필수사항 동의하시고 개인 전화번호로 인증을 받으면 됩니다.
- 인증 후에 QR코드가 발급됩니다. QR코드 위를 보시면 개인 안심번호가 보입니다. 확인해 보시면 네이버에서 받은 것과 동일합니다.
패스
- 네이버와 카톡에 비해서 많이 사용하시지는 않을 겁니다. 그래도 혹시 사용자가 계실 수도 있으니 설명드리겠습니다.
- 패스 어플은 통신사 3사마다 약간씩은 다릅니다. 하지만 크게 다르지 않을 테니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참고로 통신사마다 패스 어플 색상이 다릅니다.
- 패스 어플을 실행하시면 첫 화면에 QR출입증 바로가기가 보입니다. 이걸 눌러주세요.
- 첫 사용이시라면 인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인증 이후에 QR출입증이 발급됩니다. QR코드입니다.
- QR코드 아래를 보시면 개인 안심번호가 있습니다. 역시 네이버와 카톡에서 받은 것과 동일합니다.
코로나 초기에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사용하기 시작한 개인 안심번호입니다. 따라서 개인 정보 유출에 민감하시고 걱정되는 분들이라면 개인 안심번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 정보를 통해서는 개인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