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QR체크인 QR출입증
전자출입명부
전자출입명부를 사용할 일이 많습니다. 식당, 커피숍 어디를 방문하든 출입하기 전에 꼭 출입명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물론 수기도 가능하지만 전자출입명부가 훨씬 편리합니다. QR체크인 혹은 QR출입증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전에 "QR코드 체크인" 이라는 포스팅으로 카톡과 네이버에서 편리하게 QR체크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중복 포스팅은 아닙니다. PASS 앱으로 QR체크인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 카톡과 네이버에서 QR체크인이 필요하신 분은 이 포스팅 하단에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참고하세요.
카톡과 네이버에서는 QR체크인이라고 부릅니다. 패스 어플에서는 QR출입증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이후에는 QR출입증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SKT, KT, LG U+든 자신만의 패스 어플이 있습니다. (U+도 있는 걸로 알고 있으나 포스팅 작성 시점에서는 찾지 못하였습니다. 아마도 U+ 고객만 다운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기존에 본인인증용으로 패스 어플을 사용하고 계셨다면 QR출입증 발급이 어렵지 않습니다. 카톡이나 네이버보다 본인인증단계가 어렵지 않습니다. 패스 어플 자체가 본인인증을 위한 어플이므로 간단한 단계만 거치면 QR출입증 즉 본인의 QR 코드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기존에 패스 어플로 본인인증하는데 사용하시지 않았다면 본인인증 단계를 거치셔야 할 겁니다. 기존에 사용하고 계셨던 분들을 가정하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설치되어있는 패스어플을 실행해주세요.
패스 어플을 실행하면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뜹니다. 본인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치고 들어가셔도 됩니다. 하지만 첫 화면에 이미 QR출입증 바로가기가 보입니다. 이걸 눌러주세요.
QR출입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이 필요합니다. 이 단계는 어떤 어플을 사용하시든지 동일합니다. 모두 필수사항이므로 체크해주시고 QR생성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면 바로 QR출입증 즉, QR코드가 생성이 됩니다. 출입하시려는 건물의 QR코드 스캐너에 해당 QR코드를 비춰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QR코드 스캔 후 입장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카톡이나 네이버보다 조금 더 간편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미세한 차이이긴 하지만 패스, 카톡, 네이버 각각 사용해 보시고 편리한 것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어플 세 개중 하나만 사용하시는데 어플 실행이 문제가 있으면 난처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를 대비해서 두 가지 정도 병행해서 사용하면 어떨까 합니다. 그러면 입장할 때 큰 문제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수기 작성도 가능하다면 어플이 안되어도 큰 문제는 없겠죠.
포스팅에서 공유드렸던 내용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아까 말씀드린대로 카톡이나 네이버로 QR체크인 사용하실 분은 아래 링크 포스팅 참고하세요.
아래 공유드리는 포스팅은 카톡과 네이버에서 QR체크인 하는 내용 뿐만 아니라 조금 더 편리하게 흔들어서 QR코드를 부를 수 있는 기능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카톡에서는 쉐이크, 네이버에서는 두 번 흔들어 QR체크인 열기입니다. 카톡 이름이 조금 더 직관적이기는 하지만 둘 다 편리한 기능입니다. 아래 포스팅 참고하세요.